[서버인프라] 서버이중화 구조(Active Active, Active Standby)

 

서버 인프라 설계 및 운영시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서버 이중화를 구성한다. 서버 이중화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서버(또는 LAPR) 등을 구성하여 하나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서버를 통해 서비스를 지속가능하게 한다. 보통 서버 이중화의 구성은 Active-Active 구성과 Active-Stand by 구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Active-Active 구조

 

Active-Active 구조는 L4 스위치 등의 부하분산(SLB) 로드밸런싱을 통해 기능 또는 성격 등에 따라 1번 또는 2번 서버로 나누어서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웹 서버 이후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도 2개 이상의 서버를 둔다. 

 

 

 

서버이중화 : Active-Active 구조

대부분 웹서버는 L4 스위치 SLB(Server Load Balancing)으로 구성하고 DB서버는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를 활용한다. 디스크 공유도 마찬가지인데 Veritas CFS(Cluster File System)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정기기 장애시 1번 또는 2번 서버등으로 서비스를 지속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Down Time이 존재하지 않는다.

 

 

Active-Stand By 구조

 

Active-Stand By 구조는 서버를 이중화하여 구성하지만 동시에 부하분산을 통해 모든 기기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시에 서비스를 이전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흔히 운영시스템이라고 부르는 운영시스템 서버(메인 서버)가 장애시 서비스 장애를 즉시 인지하여 서브 서버로 서비스를 이전한다.

 

서버이중화 : Active - Stand By 구조

이러한 과정은 클러스터 하트비트(Heart) 등으로 시스템의 정상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킹하고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을 통해 수동으로 서브 서버로 서비스를 전환하거나, 크리티컬한 장애시 자동으로 서비스를 전환한다.

 

결국 이러한 구조를 통한 장점 역시 불가피한 장애에 대비하는 것이며 서비스의 다운타임을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 Recent posts